[우분투] 리눅스 서버 재시작 시, 젠킨스 자동 시작 설정하기(rc.local)
·
노빠꾸 서버/서버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 서버 재시작 및 부팅 시, 젠킨스를 자동으로 실행시켜주는 방법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젠킨스 뿐만아니라 다른 서비스들도 똑같이 적용 할 수 있습니다. rc.local을 이용하는 방법인데요. rc.local은 시스템 부팅 시 자동으로 명령어나 스크립트를 실행시켜 줍니다. 따라서, 부팅시 실행시키고 싶은 서비스나 명령어를 입력해주면 부팅시 자동으로 서비스가 시작되거나 스크립트가 실행되게 됩니다. 그럼, rc.local 파일을 생성해 봅시다. 1 sudo vi /etc/rc.local cs 위의 명령어로 rc.local파일이 없으면 생성되고, rc.local파일이 있으면 열어줍니다. 1 2 3 4 5 #!/bin/sh sudo service jenkins restart exit 0..
[리눅스] 젠킨스 설치 및 초기 세팅 하기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눅스에 젠킨스를 설치해보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우선 젠킨스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면, 젠킨스란 JAVA로 만들어진 오픈소스 CI(Continuous Integration)툴입니다. 젠킨스를 이용하면 프로젝트의 빌드 및 배포를 쉽게 진행할 수 있습니다. 그럼 이제 리눅스 우분투에서 젠킨스를 설치하는 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설치는 터미널로 진행하는 방식으로 하겠습니다. 우선 젠킨스를 설치하기 전에 JAVA가 설치되어 있어야 합니다. 리눅스에 자바를 설치하는 방법을 참고하고 싶은분들은 이전글을 확인해 주세요. 2021.12.31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 [리눅스] 우분투 자바 설치 및 환경변수설정 방법 [리눅스] 우분투 자바 설치 및 환경변수설정 방법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에 ..
[리눅스] 우분투 자바 설치 및 환경변수설정 방법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에 JAVA8을 설치해보는 방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JAVA를 설치하는 방법은 터미널을 이용하는 방법과 설치파일을 다운받아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터미널을 이용하여 설치하는 방법을 포스팅 해보겠습니다. 터미널을 이용하면 간단히 명령어를 이용해서 설치가 가능합니다. 1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cs 위의 명령어를 터미널에 입력해주면 자바 설치가 시작됩니다. 명령어 한줄로 설치과정이 끝나게 됩니다. 설치가 끝난 후, 정상적으로 설치가 된것인지 확인하려면 아래의 명령어로 확인해줍니다. 1 $java -version cs 정상적으로 설치가 되었다면, 설치한 자바의 버전정보가 터미널에 출력됩니다. 이렇게 되면 자바 설치가 완료되..
VirtualBox 리눅스 설치해보기(Ubuntu)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이번 포스팅에서는 VirtualBox에서 리눅스를 설치해보는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VirtualBox설치 방법이 궁금하신경우는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2021.12.26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 [MAC OS] Virtual BOX 설치해보기 [MAC OS] Virtual BOX 설치해보기 이번 포스팅에서는 Virtual Box를 설치해보는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Virtual Box는 Oracle사에서 무료로 제공하고있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중인 PC에 자원 가상화하여 OS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 nobacking.tistory.com 그럼 본격적으로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우선 Ubuntu 설치파일이 필요합니다. 검색엔진에서 Ubuntu(우분투)를 검색하면 쉽게 다운로드 페이지로..
[MAC OS] Virtual BOX 설치해보기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이번 포스팅에서는 Virtual Box를 설치해보는 포스팅을 진행해보겠습니다. Virtual Box는 Oracle사에서 무료로 제공하고있는 프로그램으로, 사용중인 PC에 자원 가상화하여 OS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있는 프로그램입니다. Virtual Box를 이용하여 Linux를 설치하여 이용할 수 도 있고, Mac OS를 사용중인 경우에는 Windows가 필요한 경우 Windows운영체제도 이용이 가능합니다. MAC OS, Windows 운영체제에서 모두 사용이 가능한 프로그램으로 윈도우에서 사용하시는 분도 이용방법은 비슷합니다. 다운로드는 검색엔진에서 Virtual Box를 검색하시면 바로 나옵니다. 귀찮으시면 아래 링크에서 다운받아도 됩니다. https://www.virtualbox.org/ Orac..
[리노드] 리눅스 서버 생성하는 방법
·
노빠꾸 서버/서버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리노드 가입을 완료하고 서버를 생성하는 방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리노드 가입하는 방법이 궁금하면 아래의 링크로 확인해주세요 2021.12.20 - [노빠꾸 서버/서버 설정] - [리노드] 리노드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이용 방법[회원가입] [리노드] 리노드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이용 방법[회원가입]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리노드에 가입방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먼저, 리노드 사이트로 들어가야 합니다. 검색을 해서 들어가도 되고, 아래의 링크를 이용해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리 nobacking.tistory.com 리노드 가입 후, 메일인증이 완료되고 로그인을 하게되면 대시보드같은 페이지로 이동하게 됩니다. 여기서 서버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create Linode버튼을 눌러 리노..
[리노드] 리노드 회원 가입 및 서비스 이용 방법[회원가입]
·
노빠꾸 서버/서버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본격적으로 리노드에 가입방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먼저, 리노드 사이트로 들어가야 합니다. 검색을 해서 들어가도 되고, 아래의 링크를 이용해서 들어가셔도 됩니다. 리노드 URL : https://www.linode.com/ko/ Linode | 개발자들을 위한 독립 오픈 클라우드 우리 임무는 클라우드 컴퓨팅을 모두에게 합리적인 가격으로 간단하며 접근성이 용이하도록 하여 혁신을 가속화하는 것입니다. www.linode.com 사이트에 들어가서 리노드에 관한 정보들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가입 및 서비스 이용이므로 바로 가입으로 넘어가겠습니다. 리노드는 이메일 기반으로 구글, 개인 이메일을 연동하여 가입이 가능하며, 깃허브 연동도 가능합니다. 편하신 방법을 이용하여 가입을 진..
[리노드] 개인용 가성비 웹서버 추천. Linode
·
노빠꾸 서버/서버 설정
이번 포스팅에서는 개인용(공부용) 웹서버를 하나 추천드리겠습니다. 개발을 하다보면 개인용 서버가 하나 필요한 경우가 있습니다. 개인적으로 만든 프로젝트를 서버에 올려보거나, 서버설치, 서버설정들을 공부하고싶을 경우 개인 서버가 필요하게 됩니다. 이때, 웹호스팅 서비스들을 알아보게 되는데, 대표적으로 AWS,구글 클라우드 네이버 클라우드 등 유명 기업들의 서비스들을 찾게되는데요. 서비스 제공방법을 보면, 기간을 정해(대략 1년) 무료로 사용할 수 있게 해주고, 이후 계속 이용시에는 정해진 요금제에 따라 과금을 하는 시스템입니다. 그런데, 이때 부과되는 비용들을 보면 만만치가 않게됩니다. 거의 한달에 기본 서버이용 비용만 저렴한 경우가 만원을 넘게되며, 추가로 다른 서비스들을 추가할수록 요금은 늘어나게됩니다..
[Ubuntu] 리눅스서버 우분투 자바(JAVA)설치 및 자바 환경설정 정리
·
노빠꾸 서버/설치관련
이번 포스팅에서는 우분투에 자바를 설치하는 과정을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자바 설치는 리눅스의 패키지 관리명령어인 apt-get을 이용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설치 과정은 굉장히 간단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apt-get 명령어 한줄이면 자바가 설치되게 됩니다. 1. JAVA 설치 1 2 3 4 5 6 ## 설치가능리스트 업데이트 apt-get update ## JDK install sudo apt-get install openjdk-8-jdk cs 먼저 설치가능한 리스트를 업데이트해주는 명령어를 실행한뒤, JDK설치 명령어를 실행하여 JDK를 설치해 줍니다. 설치를 진행하다보면 중간에 계속 진행하겠냐는 질문을 받게됩니다. Y를 입력하고 쭉쭉 넘어가면 되겠습니다. 설치가 완료되고, 정상적으로 설치가 완료되었..
[리눅스] 시스템관련 명령어 정리
·
노빠꾸 서버/명령어 정리
1. OS 버전확인 명령어 2. 디스크(Disk) 용량확인 명령어 3. CPU정보확인 명령어 4. 메모리정보확인 명령어